미국의 오바마 대통령이 3D 프린팅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면서 전 세계가 엄청난 예산으로 3D 프린팅 장비(PBF, Polyjet, Binderjet, DED등)개발 및 응용제품 사업화를 위해 꾸준한 연구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를 비롯한 이탈리아, 중국, 일본에서 금속 3D 프린터 개발 및 3D 프린팅 부품, 3D 프린팅 분야 1, 2위 국가인 미국 GE사에서는 항공우주 부품, 독일 EOS사에서는 바이오 응용 부품 사업화를 추진하고 있다.
아울러 국내 3D 프린팅 기술개발 1세대인 카이스트 양동렬교수, 부산대 이석희교수와 더불어 저자도 2002년부터 지금까지 국내 3D 프린팅 산업발전을 위하여 많은 사업을 추진하였다. 최초로 PBF, POLYJET, BINDERJET 3기종의 3D 프린팅 장비 국산화 개발을 통해 대한민국 3D 프린팅 산업발전의 기틀을 마련하였다. 2002년부터 2007년까지 디지털 3차원 실물복제기 개발, 2014년도에는 건축물 대상 3D프린팅 기술기획, 2016년에는 고속, 고정밀 금속 3D 프린팅 장비기술개발 및 PEEK(Polyether ether ketone)소재 기반 PBF(Powder Bed Fusion)방식의 3D 프린팅 장비개발에 성공하였다. 2018년부터 현재까지 인쇄전자와 3D 프린팅기술을 이용한 PAES(Printed Active Electronic System)개발 및 인력양성에 주력하고 있으며, 3D Printed LED Signage, 3D Printed Heater, 3D Printed Wearable Respiratory Module, 3D Printed Curved sensor 등 다양한 3차원
인쇄전자시스템 개발과 사업화를 위해 꾸준히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또한, 3D 프린팅산업협회(3D Printing Industrial Association)와 한국 플렉시블일렉트로닉스산업협회(Korea Flexible&Printed Electronics Association)설립, 한국유연인쇄전자학회내에 4D 프린팅 분과를 설립 및 대한기계학회, 한국정밀공학회 등 많은 학회에서 이 분야의 발전을 위해 주도적인 역할을 하면서 산학연 공동개발 연구를 꾸준히 진행하고 있다. 그 결과 소프트 블랑켓리버스옵셋 장비개발을 통한 스마트글라스, 스마트렌즈 등에 적용되는 3차원 투명전극, 3차원 센서전극 등 다양한 3차원 인쇄전자소자 제작기술을 개발하였다
1장 3D 프린팅 vs. 4D 프린팅
1. 3D 프린팅 vs. 4D 프린팅(3DPE)
2장 3D Printing
2-1 3D Scanner
2-2 Powder Bed Fusion 3D printer
2-3 Polyjet 3D printer
2-4 Binder Jet 3D Printer
2-5 Digital light processing 3D printer
2-6 Direct Energy Deposition 3D printer
2-7 Fused Deposition Modeling 3D printer with 3DPE
2-8 Laminated Object manufacturing 3D printer
2-9 Housing 3D printer
2-10 Nano 3D printer
3장 3D Printed electronics
3-1 Wearable respiratory module
3-2 3D curved Sensor
3-3 3D Transparent electrode
3-4 3D Printed Multisensor module
3-5 3D printed electronics
4장 4D Printing
4. 4D printing
부록